분류 전체보기

개발 서적/일일 독서

[일일 독서] 2023-03-14 (화)

p.28~59 ​ 액션, 계산, 데이터가 무엇인지 정의를 위주로 보다가 실제로 장보기, 쿠폰 보내기, 수수료 보내기 예제를 통해 구분했다. ​ 액션은 외부 세계에 영향을 주는 것, 부수효과, 실행 시점과 횟수에 의존. 액션은 코드 전체로 퍼지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 계산은 순수 함수, input이 같으면 output도 항상 동일하다. 테스트하기 쉽다, 조합하기 쉽다. ​ 데이터는 이벤트에 대한 사실, 일어난 결과. 해석이 필요하다. ​ 액션보단 계산을, 계산보단 데이터를.

TIL/일일 회고

[일일 회고] 2023-03-13 (월)

OKR을 1차로 작성했지만 계속해서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 같다. Objective로 잡았던 '실력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충족해야 하는 KR을 잡는 게 어렵다고 느껴졌다. 사실 개발을 잘한다는 것은 명확한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고, 사람마다 평가하는 기준이 다양하기 때문에 내가 생각하는 기준을 잡아야 하는데 계속 스스로에게 물음을 던지게 되는 것 같다. 물론 틀을 잡아놓으니 앞으로 걸어갈 길이 적어도 흐릿하게 보이지는 않아서 좋다. ​ 꾸준히 개발 서적을 읽고 있는데 좋다. 특히 새로운 개념을 접할 때 이런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구나, 이런 방식도 있구나 하면서 순수하게 학습의 재미를 느끼게 되는 것 같다. 또 전자책은 전혀 읽지 않고, 종이책으로만 읽는데 책을 한 장씩 넘기고 밑줄을 ..

개발 서적/일일 독서

[일일 독서] 2023-03-13 (월)

~p.27 ​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부수 효과를 피하고 부수 효과가 없는 순수 함수를 사용한다고 하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머는 부수 효과와 순수하지 않은 함수를 사용한다. 구분이 중요한 액션, 계산, 데이터 -> 액션 = 부수효과, IO, 계산 =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 변수 처럼 매핑되는 느낌이었다. 유지보수를 위한 계층형 설계, 변경 가능성으로 레이어를 둠. 액션의 실행 순서를 보장하기 위한 타임라인 커팅, 설명을 보면 콜백 함수라고 느껴졌다.

TIL/일일 회고

[일일 회고] 2023-03-12 (일)

올해 목표를 OKR로 작성해 보았다. 기존에는 개발을 공부할 때 Objective와 Action만 생각했었는데 KR을 놓치고 있었다. 막연하게 Action만 진행하고 측정할 수 없는 KR이 없다 보니 O를 달성하는 길이 어두워 보였던 것 같다. ​ Action에 대한 회고를 하면서 조정을 하고, KR또한 지속적으로 수정해 나가야 할 것 같다.

메가테라/FE 생존코스 1기

[메가테라] 프론트엔드 생존코스 6주차 주간회고

사실 (Fact) 6주차 강의는 관심사 분리에 대해 학습했다. React에서 Business Logic과 UI를 분리하는 방식인 External Store에 대해서 학습했다. Redux를 직접 만들어 보았다. 컴포넌트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커스텀 훅이 아닌, 외부의 store를 이용하여 도메인별로 분리하게 되었다. usestore-ts를 이용하여 store를 더욱 편리하게 작성했다. 과제를 일찍 잘 제출했다. 느낌 (Feeling) External Store라는 개념에 대해서 학습하며 이렇게 Business Logic을 분리할 수 있다는 관점이 정말 좋았다. 리액트에서 관심사 분리에 대해 더욱 명확하게 개념을 잡을 수 있어서 좋았다. 교훈 (Finding) 관심사 분리, 레이어를 두는 것을 의식하자. In..

메가테라/FE 생존코스 1기

[메가테라] 프론트엔드 생존코스 5주차 주간회고

사실 (Fact) 강의를 듣는 것과 데브노트를 정리하는 것 둘 다 매우 뒤쳐졌다. 과제는 제출했지만, github actions에서 e2e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jest와 rtl을 이용한 유닛 테스트, playwright를 이용한 e2e 테스트를 배웠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인터페이스를 점검하는 내용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정확히 무엇을 테스트 해야하는지에 대해 인터랙션을 검증한다는 것을 배웠다. 느낌 (Feeling) 개인적인 일이 있어 제대로 학습을 하지 못했는데 사실 변명이라고 생각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꼭 지키는게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컴포넌트에서 로직을 커스텀 훅으로 분리하고, 커스텀 훅에대한 테스트 코드를 짜는 방식도 좋을 것 같다. 교훈 (Finding) 아..

메가테라/FE 생존코스 1기

[메가테라] 프론트엔드 생존코스 4주차 주간회고

사실 (Fact) 강의가 공개된 당일날 강의를 모두 들었다. 몸이 게을러져서 데브노트는 목요일 새벽에 작성하게 되었다. 데브노트 작성과 4주차 과제를 함께 마무리했다. 데브 노트를 깊게 정리한다기엔 부족한 부분이 많아서 노아님께서 알려주신 방식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4주차 강의는 function component의 핵심인 React Hooks에 대한 내용이었다. 먼저 간단히 Express를 이용하여 서버를 세팅했고 2개의 api를 작성하고 cors 설정을 진행했다. Fetch API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오고, 주문을 할 수 있었다.(실제 기능은 없지만) React로 앱을 작성하면서 항상 사용하게 될 Hook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Custom Hook을 작성하여 ..

개발 서적/리뷰

[리뷰] 자바스크립트로 배우는 SICP

책을 읽을 때는 왜 읽어야 하는지, 무엇을 알고 싶은지를 미리 생각하고 읽어야 더욱 재밌고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2가지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먼저 시작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도서는 원래 MIT에서 강의하던 SICP라는 강의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마법사책이라고 많이 불립니다. SICP는 번역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와 해석으로 볼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번역되었던 책도 있습니다. MIT에서 SICP는 6.001이라는 수업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MIT에서 SICP를 가르치고 있지 않는데 SICP 커리큘럼이 더이상 현대적인 엔지니어가 되도록 준비시키지 못한다고 합니다. 8~90년대에는 간단하고 잘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을 조립을 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

유승완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