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일기] 2023-04-07 (금)
p.105~134 this 용법, 자바스크립트에선 특히 this가 가리키는 것이 다양해서 많이 강조가 된다. ES6 이후에는 arrow function으로 해결하지만, 전에는 var that = this; 생성자 함수, instanceof 연산자로 인스턴스 생성 강제하는 방법.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가 객체지향을 구현하는 방법. 프로토타입 체이닝, 단방향.
p.105~134 this 용법, 자바스크립트에선 특히 this가 가리키는 것이 다양해서 많이 강조가 된다. ES6 이후에는 arrow function으로 해결하지만, 전에는 var that = this; 생성자 함수, instanceof 연산자로 인스턴스 생성 강제하는 방법. 프로토타입, 자바스크립트가 객체지향을 구현하는 방법. 프로토타입 체이닝, 단방향.
# 리프레쉬 3개월 만에 휴가를 쓰게 되었다. 오랜만에 평일에 쉬니까 정말 기분이 좋다. 제대로 리프레쉬를 하고 돌아와서 다시 지속적으로 학습을 이어가자.
p.98~104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 - 함수는 값이기 때문. argument 객체, ES6에서는 Rest Parameter 사용. this는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에 따라 참조하는 것이 달라진다.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this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로 바인딩된다. 함수를 호출할 때는 this는 전역 객체에 바인딩된다.
# 책을 읽는 재미 요즘엔 책을 꾸준하게 잘 읽고 있는 것 같다.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서도 읽고 퇴근해서도 시간을 정해서 읽는데 작은 부품들이 합쳐지면 무언가 볼만한 것이 완성이 되는 것처럼 지식의 조각들도 조금씩 모이면서 더 커다란 지식이 완성되었으면 좋겠다. 작게나마 지식들이 쌓여가는 느낌이 드는데 이것이 지속적인 독서의 원동력이 되는 것 같다.
~p.98 자바스크립트를 언어를 다루는 책들을 많이 읽어봤는데 추천을 받아서 읽어보려고 한다, ES6 이전을 다룬다. 자바스크립트의 핵심 개념 - 객체, 함수, 프로토타입, 실행 컨텍스트, 클로저 자바스크립트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ES6 전이라 prototype을 이용한),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본 타입 -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 Symbol, BigInt 참조 타입 - Object, Array, Function, Regex 숫자는 64비트 부동 소수점 typeof null은 object 참조 타입은 객체를 가리키는 참조 값을 저장한다. 객체 비교와 복사, 함수의 인자로 전달할 때 주의. 프로토타입 - __proto__, [[Prototype] 함수..
p.367~398 높은 생산성 유지하기 - 빠르게 가려면 제대로 가야 한다. (빌드, 테스팅, 디버깅, , 회의, 음악, 기분, 몰입, 시간관리) 팀으로 일하기 - 공동 프로그래밍. 정직하고 공정하게 추정하기 - 정직하고 확실하고 정밀하기. 불가능하다면 아니라고 할 수 있어야 한다. 존중 - 차별은 용납되지 않는다. 배우기를 멈추지 말라. (최소 주당 10~20시간)
# 소프트웨어 장인의 길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 이야기를 읽고 나서 테스트 코드에 대한 내용 외에도 소프트웨어 전문가로서의 책임, 윤리, 실천에 대해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몇 년, 몇십 년 동안 개발자로서 살아가면서 어려움이 있더라도 꺾이지 않고 걸어가야 하는 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0가지 선서를 지켜 나갈 것이다.
p.295~366 프로그래밍 산업은 경험 부족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위태로운 처지에 있다. 세상에서 프로그래머의 역할은 너무나도 중요하고 바보 같은 행동을 한다면 수만 명의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 따라서 지켜야할 10가지 선서를 제안한다. 1. 해를 끼치지 말라. 2. 최선의 결과물을 만들어라. 3. 반복적인 증명을 만들어라. (테스트 코드) 4. 짧은 주기의 릴리즈를 가져라. (CI/CD) 5. 가차없이 개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