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Query (Server State Management for React) state vs props state와 props는 모두 자바스크립트의 순수한 객체입니다. 렌더링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React는 state나 props의 값이 변경되면 화면에 렌더링해야 할 데이터가 바뀌었기 때문에 리렌더링을 하게 됩니다. 이들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가 됩니다 (함수 내부에서 선언 된 지역변수와 비슷합니다). props는 컴포넌트로 전달됩니다 (함수에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Client State vs Server State Client State 브라우저 세션과 관련된 정보, 즉 클라이언트가 제어하고 소유하는 데이터입니다...
never 타입 // 이 함수는 반환값을 void로 추론하지만 never을 사용할 수 있다. // 에러를 출력하거나 절대 반환값이 없다는 의미 function generateError(message: string, code: number): never{ throw {message, errorCode: code}; } generateError('An error occured', 500); tsc --watch tsc -W 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지켜보면서(watch) 소스코드에 변화가 생기면 컴파일한다. tsc --init으로 tsconfig.json을 생성후에 tsc, tsc --watch, tsc -W 명령어로 폴더의 모든 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컴파일한다. tsconfig.json exclude : 컴파일에..
자바스크립트는 런타입에 타입이 결정되는 동적 타입 타입스크립트는 런타임전에 개발 단계에서 타입이 결정되는 정적 타입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입스크립트를 실행하려면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을 해야한다. 타입 추론(type reference) 타입스크립트는 스스로 타입을 추론한다. const number1 = 5; // number1의 타입은 5 let number2 = 2.5; // number2의 타입은 number // 따로 타입을 지정해 줄 필요가 없다, 하지만 변수를 먼저 선언하고 // 나중에 값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지정하기도 한다. let number3: number; number3 = 5;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에러를 통해 알려준다. cons..
XHTML5 표기법 // 1. 속성값(attribute)를 작성할 때 축약없이 전체를 입력합니다. // required = "required" // 2. 단독으로 사용하는 태그에 slash를 작성합니다. HTML5 표기법 // 1. 속성값(attribute)를 작성할 때 축약할 수 있습니다. // required // 2. 단독으로 사용하는 태그를 그대로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