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

TIL/개발

BFF(Backend For Frontend)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나?

프론트엔드 아키텍처가 CSR에서 다시 SSR로 넘어오고 있고 RSC도 많이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에 맞게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에게도 서버와 인프라에 대한 지식도 점점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속에서 BFF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내가 알고 있던 BFF 제가 BFF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에서 중간에 서버(BFF)를 하나 더 둔다. BFF는 프론트엔드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면, 프론트엔드에게 화면에 보여질 데이터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BFF의 관리는 팀의 구성에 따라서 다르다. 그런데 이 정도의 이해로는 언제 BFF를 사용하고 장점이 무엇인지 누군가를 설득시킬 수는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결국에 화..

개발 서적/리뷰

[리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2010년대에 등장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는 현재 소프트웨어 생태계에서도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서비스들은 MSA로 아키텍처를 전환하는 과정을 겪기도 했습니다. 아키텍처를 MSA로 구성하려는 목적이 있거나, 관심이 있다면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됩니다. 1부에서는 MSA의 핵심 아이디어를 설명하여 중요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부에서는 MSA의 구현부를 다루고 있고 도움이 되는 기법과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3부에서는 사람과 조직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은 기술적인 것만 다루는 것 이상으로 사람과 조직에 대한 내용까지 넓게 다루고 있어 실제 개발팀에서 MSA를 도입하기에 시..